공연장 일신홀
월간일정

Home>공연안내>월간일정

  • 커티스음악원 개교 100주년 기념 음악회
  • 공연일시
    2025년 12월 27일 토요일 15:0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티켓가격
    예매처
    공연문의
    지클레프 02-515-5123

공연 소개

Piano 이경숙

이경숙은 서울예고 재학 중 장학생으로 도미, 명문 커티스 음악원에서 호로조프스키와 루돌프제르킨을 사사했다. 유학 전 국내에서 이화경향 콩쿠르 특상을 수상하며 음악성을 인정받은 그녀는 1967년 제네바 국제음악 콩쿠르에서 입상하며 세계 음악계의 주목을 받았다. 커티스 음악원 졸업 후 미국, 유럽, 아시아를 중심으로 크리스찬 페라스, 피에르푸르니에, 유디스 샤피로 등 세계의 거장들과 스위스 로망드, 홍콩 필하모닉, 프라하 심포니, 모스크바 필하모닉 등과 연주 활동을 하며 명성을 쌓아나갔다.

1987년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곡 전곡, 1988년 국내 최초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 32곡, 1989년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전 19곡, 1991년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소나타 전 9곡을 모두 완주했다. 이어서 1993년에는 부천시향과 차이콥스키 피아노 협주곡 3곡을 협연했고, 2000년 사무엘 바버의 피아노 전곡 연주, 2003년 슈베르트 소나타 연주 등 그녀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전문 연주자의 시대를 열어 많은 연주자들에게 영감과 도전의 메세지를 던졌다. 그녀는 연주가뿐만 아니라 음악교육자로서도 많은 공헌을 했다. 1993년 우리나라 첫 국립 콘서바토리인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초대 원장으로 선임된 그녀는 국내외 유명 교수를 영입했고 국내 최초의 영재 입학제도를 도입해 파격적인 교육 변화를 통해 탁월한 행정력을 발휘하여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예술학교로 도약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그녀는 이같은 업적을 인정받아 1985년 음악동아 선정 제 1회 올해의 음악가상, 1985년과 1988년 올해의 예술가상, 1987년 난파음악상, 1988년 김수근 공연예술상, 1994년 대한민국문화예술상, 1995년 옥관문화훈장(세계를 빛낸 한국음악인), 1988년 한국음악상, 2000년 우경문화예술상, 2007년 대한민국 예술원상을 수상했다. 또한 독일 뮌헨 국제 피아노 콩쿠르, 일본 소노다 콩쿠르, 서울국제음악콩쿠르, 영 차이콥스키 콩쿠르, 노르웨이 탑 오브 더 월드 콩쿠르, 윤이상 국제음악 콩쿠르, 신시내티 국제콩쿠르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초대 원장,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학장을 지낸 그녀는 현재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명예교수, ‘커티스와 친구들' 음악 대표,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 서울사이버대학 피아노과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Piano 김규연

피아니스트 김규연은 2006년 더블린 국제 피아노 콩쿠르 준우승 및 최고의 협연자상과 모차르트 연주상을 동시에 수상하며 음악계의 기대주로 떠올랐다. 그는 예원학교 재학 당시 바트록-카발레브스키-프로코피에프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일찍이 음악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고 미주리 서던 국제 콩쿠르 준우승, 지나 박하우어 영 아티스트 국제 피아노 콩쿠르 우승, 제네바 국제 콩쿠르에서 최연소 특별상을 수상하며 국제무대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이후, 세계 최고 권위의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laureate 입상, 클리블랜드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입상하며 세계가 인정하는 연주자로서의 성공적인 행보를 이어갔다. 국내에서는 한국일보 콩쿠르 대상, 예원을 빛낸 음악인상을 비롯하여 한국음악협회 신인대상, 운파상, 신한음악상을 수상하는 등 어린 시절부터 주목받았다. 

금호영재콘서트와 금호 영아티스트 콘서트 데뷔 후 교향악축제, 평창 겨울음악제, 서울국제음악제, 프랑스 프라드 카잘스 페스티벌, 폴란드 에미나체 페스티벌, 서울 스프링 실내악 페스티벌, 부산 국제음악제, 대한민국 국제음악제, 도쿄 PTNA 페스티벌, 뉴욕 NYCA 콘서트, 마이애미 챔버뮤직 페스티벌 등 세계 유수의 페스티벌에 초청되어 연주하였다. 1993년 서울 심포니와의 무대를 시작으로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 서울시향, 벨기에 국립교향악단, 뉴월드 심포니, KBS 교향악단, 더블린 RTE 내셔날 심포니, 신포니에타 크라코비아, 수원시향, 코리안 챔버 오케스트라, 부천시향, 코리안 심포니, 마카오 오케스트라, 왈론 챔버오케스트라 등 세계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으며 미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벨기에, 스위스, 네덜란드, 폴란드, 아일랜드, 호주, 일본, 싱가포르, 홍콩, 쿠바  등지에서의 독주회와 실내악 연주 및 협연으로 뛰어난 연주력과 음악성으로 한국 음악계를 이끌어 갈 피아니스트로 주목받고 있다.

2009년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성공적인 북미 데뷔 무대를 가졌으며 2017년 카네기홀 데뷔 리사이틀을 통해 평단의 ‘자연스러운 음악적 흐름을 가진 연주자’라는 호평을 받았다. 같은 해 첫 솔로 데뷔 앨범 Rameau & Schubert 가 Dux 레이블에서 발매되었다. 

예원학교를 수석으로 입학, 졸업한 그는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영재로 선발되어 학사학위를 수여받았으며 미국의 명문 커티스 음대에서 디플로마, 뉴잉글랜드 콘서바토리에서 석사학위를 수여받았다. 조숙현, 강충모, 클라우스 헬비히, 게리 그라프만, 러셀 셔먼을 사사하였고, 클리블랜드 음악원에서 세르게이 바바얀을 사사하며 아티스트 디플로마 과정을 졸업, 맨하탄 음대에서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현재 Young Classical Artists Foundation의 Music Director, 프레스토 아티스트 소속 아티스트로 활발한 활동중이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Violin 김현아

뉴욕 콘서트 리뷰로부터 “정교하고 화려한 테크닉, 맑고 영롱한 소리, 깊고 넒은 음역, 열정적이면서도 담백한 연주 스타일, 바이올리니스트로 최상의 기량과 미덕을 갖춘 연주자…” 라는 찬사를 받은 바이올리니스트 김현아는 10세 때 서울시향과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 협연으로 음악계의 이슈가 되었고, 12세 때 미국 유학길에 올라 아론 로잔드에게 사사 하며 커티스 음악원을 졸업하고 줄리아드에서 글렌 딕테로우에게 사사하며 석사학위 및 전문연주자 과정을 졸업한 후 뉴욕 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 하였다.  

국내에서 이화. 경향 종합대상, 한국일보 등에서 1위를 두루 석권하였던 김현아는 스위스 Tibor Varga 국제 콩쿠르에서 입상하였고,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오디션 우승, 필라델피아 챔버 오케스트라 오디션 우승 등 세계적 무대에서 상위 입상, 우승함으로써 탄탄한 실력과 탁월한 기량 그리고 풍부한 음악성을 인정받았다.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조지 에네스쿠 필하모닉, 불가리아 내쇼널 필하모닉, 상트 페테르부르크 챔버 오케스트라, 상하이 필하모닉, 세종 솔로이스츠, KBS 교향악단, 서울시향, 수원시향, 부산시향, 코리안 심포니, 서울 바로크 합주단 등 국내 및 해외의 명문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을 하였으며 교향악축제 및 IBK챔버홀 개관기년 독주회 등 수많은 독주회 및 실내악 연주를 통하여 폭넒은 레퍼토리와 특유의 맑은 음색으로 평론가들과 음악 애호가들에게 극찬을 받았다. 

카네기홀에서의 리사이틀을 비롯하여 링컨센터 Alice Tully Hall, Merkin Hall, 도쿄의 Suntory Hall 등 세계무대에서 다수의 성공적인 연주회를 가져 왔으며, 국내를 비롯한 아시아, 유럽, 미국 등지에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헝가리 부다페스트 페스티발에서 처음 개최된 Ilona Feher 바이올린 국제 콩쿠르, 이태리 Postacchini 윤이상 국제 콩쿠르 및 서울국제음악콩쿠르 심사 위원을 역임 하였다. 

김현아는 1737년 제작된 Stradivarius Count D’Armaille로 연주하고 있으며 현재 연세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Violin 송지원

일찍이 세계 유수의 콩쿠르를 휩쓸며 주목받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 송지원은 2017 윤이상 국제 음악 콩쿠르 1위 및 박성용영재특별상 수상을 비롯하여 2016 레오폴드 모차르트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1위 및 청중상, 2014 중국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1위 및 특별상, 2014 앨리스 앤 엘레노어 쇤펠드 국제 현악 콩쿠르 1위 및 최고연주상 등을 수상했다.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서울시향 등 국내외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고 2018년 Klanglogo 레이블의 ‘Beethoven & Mozart’ 데뷔 앨범과 2021년 디지털 음원 ‘Nostalgie’를 발매한 바 있다.

한예종 예비학교, 클리블랜드 음악원 예비학교를 거쳐 커터스 음악원, 뉴잉글랜드 음악원 석사과정, 줄리아드 음악원 아티스트 디플로마 과정을 졸업했다.

현재 세계적인 악기사 Tarisio Trust를 통해 “ex-Curtis” Nicolas Lupot, Paris 1799를 후원자에게 지원받아 연주하고 있으며,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관현악과 조교수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Violin 엘리사 리 콘조넨

- 커티스 음악원 졸업

-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보스턴 팝스, 미네소타 오케스트라, 로얄 필하모닉 등 다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

- 헨릭 셰링 상 수상

- 칼 플레쉬 국제 콩쿠르 실버메달

- 현재 : 미국 전역에서 활동 중


[PROGRAM]

Igor Stravinsky (1882-1971)

Suite Italienne for Violin and Piano


A. Beach (1867-1944)

Romance for Violin and Piano, Op. 23 


F. Schubert (1797-1828)

Ave Maria, Op. 52 No. 6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Violin Sonata No. 18 in G Major, K. 301 


R. Glière (1875-1956)

12 Duos for 2 Violins, Op.49, No. 1